활동
-
[워크숍] (11월 18일) 하머팀에게 배우는 국악 워크숍 - 문화원
2025년 11월 17일과 18일, 주브라질한국문화원은 상파울루 오스왈드 지 안드라지 문화단지와 협력하여 한국예술종합학교(K-Arts) 출신 음악가들로 구성된 그룹 하머(Hammer)와 함께 한국 전통음악 워크숍을 개최합니다. 하머는 브라질 관객에게 한국 전통음악의 핵심 요소를 소개하기 위한 프로젝트 K.R.U.S.H! (Korean Rhythms Uniting Strings & Harmony) 공연을 위해 브라질을 방문했으며, 이번 워크숍에서는 참가자들이 거문고 등 전통 악기를 직접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실습형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이번 워크숍은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며, 브라질 관객들에게 한국 전통 리듬과 악기의 매력을 알리고 문화적 이해를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워크숍 강사 소개 하머(Hammer) 팀 Hammer(하머)는 거문고, 기타, 타악 연주자로 구성된 창작국악단체로 실험적이고 파격적인 구성을 통해 세계에 전통음악을 알리고자 결성하였다. 독일어 'Hammer'는 영어의 해머, 즉 망치를 뜻하는데 타악기와 거문고, 그리고 기타의 치고 때리는 화려한 모습을 망치에 비유하여 직설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팀 Hammer는 다양한 거문고 주법과 타악적 퍼포먼스를 활용해 거문고의 매력을 한계 없이 보여주고자 한다. 11월 18일 워크숍 안내 날짜 및 시간: 2025년 11월 18일(화) 오후 2시 (약 1시간 진행) 장소: 주브라질한국문화원 주소: Av. Paulista, 460. 1층. Bela Vista, São Paulo/SP 정원: 30명 (현장 선착순) 참가비: 무료 참가 연령: 만 15세 이상 대상: 일반 대중 문의: contato@kccbrazil.com.br 주브라질한국문화원은 같은 워크숍을 17일에 오스왈드 지 안드라지 문화단지에서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링크)를 클릭하세요.
게시일 2025.11.13. -
[워크숍] (11월 17일) 하머팀에게 배우는 국악 워크숍 - 오스왈드 지 안드라지 문화단지
2025년 11월 17일과 18일, 주브라질한국문화원은 상파울루 오스왈드 지 안드라지 문화단지와 협력하여 한국예술종합학교(K-Arts) 출신 음악가들로 구성된 그룹 하머(Hammer)와 함께 한국 전통음악 워크숍을 개최합니다. 하머는 브라질 관객에게 한국 전통음악의 핵심 요소를 소개하기 위한 프로젝트 K.R.U.S.H! (Korean Rhythms Uniting Strings & Harmony) 공연을 위해 브라질을 방문했으며, 이번 워크숍에서는 참가자들이 거문고 등 전통 악기를 직접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실습형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이번 워크숍은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며, 브라질 관객들에게 한국 전통 리듬과 악기의 매력을 알리고 문화적 이해를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워크숍 강사 소개 하머(Hammer) 팀 Hammer(하머)는 거문고, 기타, 타악 연주자로 구성된 창작국악단체로 실험적이고 파격적인 구성을 통해 세계에 전통음악을 알리고자 결성하였다. 독일어 'Hammer'는 영어의 해머, 즉 망치를 뜻하는데 타악기와 거문고, 그리고 기타의 치고 때리는 화려한 모습을 망치에 비유하여 직설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팀 Hammer는 다양한 거문고 주법과 타악적 퍼포먼스를 활용해 거문고의 매력을 한계 없이 보여주고자 한다. 11월 17일 워크숍 안내 날짜 및 시간: 2025년 11월 17일(월) 오후 4시 (약 1시간 진행) 장소: 오스왈드 지 안드라지 문화단지 주소: Rua Três Rios, 363 - Bom Retiro, São Paulo - SP, 01123-000 정원: 30명 (선착순 현장 접수) 참가비: 무료 참가 연령: 만 15세 이상 대상: 일반 대중 문의: contato@kccbrazil.com.br 주브라질한국문화원은 같은 워크숍을 18일에 문화원 본관에서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여기)를 클릭하세요.
게시일 2025.11.13. -
[강좌] 2025년 11월 케이댄스 집중과정 수강 신청
주브라질한국문화원에서는 오는 11월 4일부터 11월 27일까지 진행되는 케이댄스 집중과정 수강 신청을 아래와 같이 진행합니다. 아래의 강좌 관련 정보를 확인하신 후, 수강신청 링크를 통해 지원해주시기 바랍니다. 신청 전 모든 내용을 꼼꼼히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수강 대상 댄스에 대한 기초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K-POP 안무를 배우는 데 관심이 있는 분들을 위한 과정입니다. 강좌 개요 ●신청 기간: 2025년 10월 17일(금) 10시부터 10월 25일(토) 23시 59분까지 (브라질리아 시간) ●신청 방법: 구글폼 (10월 17일 오전 10시부터) ○링크: https://forms.gle/MFAG4xyb1qxyFkV69 ●강좌 기간: 2025년 11월 4일 ~ 11월 27일 (총 8회) ●장소: Sala de Ensaio 1 do Centro Cultural São Paulo ●주소: Rua Vergueiro, 1000, Paraíso, São Paulo/SP ●정원: 최대 25명 ●선발 방식: 영상 및 질문에 대한 답변 평가 ●최소 연령: 14세 ●수업 방식: 대면 강의 ●수강료: 무료 ●합격자 발표: 10월 28일(화) 개별 이메일 통보 선발 방식 ●구글폼 신청 순서에 따라 선착순 선발됩니다. ●합격자는 10월 28일까지 합격 이메일을 받게 됩니다. ●합격 메일을 받지 못한 경우, 선정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별도의 이메일을 보내드리지 않습니다. 강좌 규정 ●수업을 3회 결석하거나 첫 수업에 불참할 경우, 1년간 수강 신청이 제한됩니다. ●한 사람당 1개의 이메일로만 신청이 가능하며, 복수 이메일을 사용하거나 중복 신청이 확인될 경우 수강이 제한됩니다. 시간표 ●화요일 및 목요일 19:00 ~ 20:00 문의처: 주브라질한국문화원 케이댄스 강좌 문의 이메일 (kdbusinessbr@gmail.com)
게시일 2025.10.17. -
[유료강좌] 2025년 2학기 규방 강좌 수강 신청
주브라질한국문화원에서 오는 8월25일 10시부터 9월4일 18시까지 (브라질리아 시간) 2학기 규방공예 문화강좌 수강 신청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아래에 강좌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신 후 수강신청 링크를 통해 지원해주시기 바랍니다. 규방공예(閨房工藝) 대하여 규방공예는 조선시대 여성들이 규방(閨房, 여성의 생활 공간)에서 생활하면서 익히고 발전시킨 전통 수공예를 의미합니다. 주로 천과 실을 이용한 섬세한 바느질 작업이 중심이 되며, 실용성과 장식성을 동시에 갖춘 공예품을 제작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강사 소개 김영주 김영주(Sheila) 선생님은 전통 한국 공예 강사로, 2011년부터 예술 활동을 시작하여 한국과 브라질에서 규방공예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그녀는 전통 공예 문화를 보존하고 계승하는 장인으로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한국 문화의 정수를 전하고 있습니다. 강의 커리큘럼 1~3주차: 실크 모빌 & 꽃잎 주머니 제작 o실크 모빌(걸이 장식) 제작 o전통 미감을 살린 꽃잎 모양 주머니 제작 o기초 바느질, 패턴 구성, 비단 재단 기법 학습 4주차: 전통 매듭 미니 노리개 o전통 매듭 기본 기법 실습 o미니 노리개(매듭 장식) 제작 o매듭의 의미와 색채 조화 이론 학습 5~6주차: 모시 달항아리 제작 o전통 모시 원단의 특징과 활용 학습 o한국 도자기 ‘달항아리’에서 영감을 받은 직물 작품 제작 7~9주차: 옥사 미니 커튼 제작 o옥사: 고급 비단으로 만든 전통 얇고 촘촘한 직물 o전통 옥사로 소형 커튼 제작 o창 장식용 전통풍 직물 작품 완성 o손바느질 훈련 및 색채 조화 감각 개발 10주차: 전통 요소를 활용한 크리스마스 장식 o연말 시즌 장식품 창작 o전통 원단, 노리개, 매듭을 활용한 트리 장식 및 선물 포장 소품 제작 o전통 규방 공예의 현대적 응용 강좌 개요 신청 기간: 25년 8월25일 10시부터 9월4일 23시59까지 (브라질리아 시간) 신청방법: 구글폼 (8월25일 오전 10시부터) 링크: https://forms.gle/QwP8SAj4NvZiCGun8 강좌 기간: 25년 9월11일 ~ 11월 13일 (총 10주) 시간: 매주 목요일 오전 10시 ~ 12시 장소: 주브라질한국문화원 2층 강의실(Av. Paulista 460, Bela Vista, São Paulo) 정원: 15명 선발 방식: 선착순 신청에 따라 선발 최소 연령: 없음 수업 방식: 대면 강의 수강료: 매월 R$ 160 (1회당 R$40) 재료비: R$50 ~ 250(총 6개 재료 사용예정, 수강료랑 별도 청구) o실크모빌: R$70 o꽃잎 주머니: R$ 90 o미니 노리개: R$50 o모시 달항아리: R$ 100 o옥사 미니 커튼 : R$ 250 o크리스마스 소품: R$ 100 합격자 발표: 9월4일 이후 개별 이메일 통보 선발 방식 구글 폼 신청 선착순 선발 합격자는 9월 5일까지 확인 이메일 수신 승인 메일을 받지 못한 경우, 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별도의 답변은 없을 예정 강좌 규정 수업료는 1달 단위로, 재료비는 각 재료를 사용하는 강좌 1주일 전에 강사에게 직접 납부하면 됩니다. 납부한 수강료와 재료비는 환불이 불가합니다. 시간표 A반: 매주 목요일10:00 ~ 12:00 문의처: 주브라질한국문화원 문화강좌 담당자 (kccbrazilcursos@gmail.com)
게시일 2025.08.24. -
[유료강좌] 2025년 2학기 한국화 강좌 수강 신청
주브라질한국문화원에서 오는8월25일 10시부터 (브라질리아 시간) 2학기 한국화 문화강좌 수강 신청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아래에 강좌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신 후 수강신청 링크를 통해 지원해주시기 바랍니다. 신청 전 모든 정보를 자세히 읽어 주시길 바랍니다. 강사소개 나성주 나성주 강사는 한글의 아름다움을 서예와 캘리그라피로 표현하며, 브라질에서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힘써온 예술가입니다. 1987년부터 1996년까지 제일기획에서 디렉터로 활동한 후, 2009년부터 서예한국화협회에서 지도 선생으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해 왔습니다. 또한, 2012년부터 주상파울루한국교육원과 주브라질한국문화원에서 서예와 캘리그라피 체험 강사로 활동하며 한국 문화의 전파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스케줄 내용 1주차: 오리엔테이션 & 한국화 소개 o전통 회화의 역사와 특징 소개 o붓 사용 기본기와 재료 이해 [대나무] 2주차: 사군자 & 대나무 o사군자의 의미와 상징 학습 o대나무 그리기: 먹 갈기, 농담 조절 기법 o국화 소개 [국화] 3주차: 국화 – 기초 o꽃잎 구조 이해 o기초 선과 붓질 연습 4주차: 국화 – 마무리 o잎과 줄기 표현 o소품 제작 5주차: 국화 – 완성 작품 o국화 완성 작품 제작 o개별 지도 [매화] 6주차: 매화 – 기초 o가지와 꽃의 선 표현, 구도 연습 o붓 압력 변화 실습 7주차: 매화 – 마무리 o다양한 구도와 농담 조절 o간단한 작품 제작 [모란도] 8주차: 민화 – 한국 전통 민속화 o민화 개념과 특징, 상징 의미 o색채 표현과 전통 도안 실습 9주차: 창작 작품 제작 o사군자와 민화 요소 결합 o창의적 구도와 그림 구상 10주차: 완성 & 전시 o최종 작품 완성, 피드백 o소규모 전시 가능성이 있습니다 강좌 개요 신청 기간: 25년 8월25일 10시부터 9월4일 23시59분까지 (브라질리아 시간) 신청방법: 구글폼 (8월25일 오전 10시부터) 링크: https://forms.gle/VLKJwUT97Stg194q8 강좌 기간: 25년 9월13일 ~ 11월 15일 (총 10주) 시간: 매주토요일16시 ~ 18시 장소: 주브라질한국문화원 2층 강의실(Av. Paulista 460, Bela Vista, São Paulo) 정원: 15명 선발 방식: 선착순 신청에 따라 선발 최소 연령: 없음 수업 방식: 대면 강의 수강료: 매월 R$ 280 (R$70/회당) 재료비: R$ 150 합격자 발표: 9월5일 이후 개별 이메일 통보 선발 방식 구글 폼 신청 선착순 선발 합격자는 9월 5일까지 확인 이메일 수신 승인 메일을 받지 못한 경우, 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별도의 답변은 없을 예정 강좌 규정 수업료는 1달 단위로, 재료비는 수업 전에 강사에게 직접 납부하면 됩니다. 납부한 수강료와 재료비는 환불이 불가합니다. 시간표 A반: 매주 토요일16:00 ~ 18:00 문의처: 주브라질한국문화원 문화강좌 담당자 (kccbrazilcursos@gmail.com)
게시일 2025.08.24.